준비물 : AWS 계정, SSH 연결 프로그램
시작 전
•
목표 : On-premise DB서버를 AWS의 RDS로 Migration하기
•
여기를 눌러 기본 VPC & EC2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.
•
이 포스팅은 DMS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On-premise to RDS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최소환경으로 구성하였다.
DMS란?
•
DMS란? :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DMS를 사용하여 AWS Cloud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, 온-프레미스 인스턴스 간에(AWS 클라우드 설정을 통해) 또는 클라우드와 온-프레미스 설정의 조합 간에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다.
•
DMS는 Free-Tier를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약간의 과금이 필요하다. (실습만 진행하고 삭제하면 1$ 이내로 가능하다)
•
DMS Migration을 간단하게 표현하자면
기존 DB의 데이터를 새 DB에 옮겨주는 이삿짐 센터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.
기존 DB (Origin DB)
•
기존 운영중인 DB서버 역할을 할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다. - 기존에 살던 집
•
DB서버는 보통 Private공간에서 운영되는데 DMS는 IP를 기반으로 Origin DB에 접근하기 때문에 DMS를 위해 잠시 공인 IP를 설정해준 것이다.
•
DB서버에 공인 IP를 설정하지 않고 DB를 Migration하려면 AWS Direct Connect 서비스를 사용하거나 VPN을 구축해 진행하는 방법도 있다.
AWS Direct Connect
VPN
Origin DB 설정
DB Migration
RDS 생성 - 이사갈 집
서브넷 그룹 생성
복제 인스턴스 생성 - 이삿짐 센터
Source Endpoint 생성
Target Endpoint 생성
DB Migration Task - 이사하기
결과 확인
DB Mirgation 태스크 결과
결과 확인 후 삭제 순서
결론
•
DMS를 통해 On-Premise의 MariaDB를 RDS의 MariaDB로 마이그레이션했다.
•
DB의 단순 Migration 뿐만 아니라 조건을 주어 원하는 값만 Migration하거나 복제도중 값을 변환하여 Migration 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DMS에 대한 사용법을 익혔다.